• 제목
    2회 모고 15번
    2025.04.21 14:01:55
  • 3번 선지에서 해설을 보면 법정자본금 감소액 3억원이 결손액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결론적으로 손실이 이익보다 큰 상황이고 이는 결손액이 발생하는 상황인데 그러면 감소액 3억원은 결손엑이 아니라면 뭔가요?
  • 작성자명*호
  • 첨부파일
    • 바탕국어연구소
    • 2025.04.24 15:51:09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 액면 가격 1만원의 주식이 10만 주 발행되어 있고 / 자본 총계가 16억원인 주식회사가 / 3만 원의 시장 가격으로 3만 주의 주식을 매입한 후 이를 소멸시키는 경우

    [기존]
    법정 자본금 : 10억 원
    잉여금 : 6억원

    [주식 소각 실행 시 필요 자금]
    법정 자본금 : 3억원(1만원 x 3만 주 = 3억원)
    잉여금 : 6억원 (2만원 x 3만 주 = 6억원)

    [주식 소각 실행 이후]
    법정 자본금 : 10억원 - 3억원 = 7억원
    잉여금 = 6억원 - 6억원 = 0원


    액면 가격에 대해 법정 자본금이 쓰이고 액면 가격을 초과하는 액수에 대해 6억 원이 쓰인 것입니다. 법정 자본금의 감소는 주식 소각 시 액면 가격에 대해 쓰인 것으로, 손실이 이익보다 큰 경우에 해당하여 쓰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손금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