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본바탕 13회 필릭스지문
    2025.07.21 21:35:24
  • 본바탕 13회 22페이지 지문 내용관련 질문

    Q1.필립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를 발견하였는데 이를 사무엘슨과 소로에 의해 실업률이 높을수록 물가상승률이 낮아짐을 보여주는 필립스 곡선으로 정 형화하였다고 했는데 갑자기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 관계가 아닌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관계를 통해 그래프를 그린 이유가 궁금합니다.
    Q2. 첫문단 마지막쯤에 확장적 통화정책을 시행하여 물가상승률이 올라가면 경기가 부양되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는 함께 달성할 수 없음을 시 사한다라고 나와있는데 물가상승률이 올라가면 경기가 부양된다 라는 것까지는 납득이 가능한데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를 함께 달성할 수 없다는 구절이 이해가 가지 않 습니다
    Q3. 마지막 전문단에 한편 국제 물가 변동에따른 자국 물가상승률의~ 이 구절을 어떻게 이해해야하나요?
  • 작성자변*영
  • 첨부파일
    • 바탕국어연구소
    • 2025.07.27 16:37:33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1. 1문단에 따르면, 필립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반비례 관계를 발견했고, 사무엘슨과 소로는 이를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로 확장했어요. 임금이 오르면 생산비가 늘고, 결국 물가도 오르기 때문에 임금 상승 = 물가 상승으로 본 거예요. 그래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직접 연결한 필립스곡선이 만들어진 거예요.

    2. 필립스곡선은 실업률이 낮아질수록 물가상승률이 높아진다는 걸 보여줘요. 그래서 고용을 늘리려 하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를 안정시키려 하면 고용이 줄 수밖에 없어요. 두 목표가 서로 반대 방향에 있기 때문에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는 뜻이에요. 1문단 마지막 문장이 이걸 시사하고 있어요.

    3. 4문단에 따르면, 요즘은 자국 내 생산이나 고용이 늘어도 물가는 별로 오르지 않지만, 국제 물가가 오르면 자국 물가는 더 크게 반응한다는 거예요. 그래서 실업률이 낮고 생산이 늘어도 물가가 잘 오르지 않는 이유는, 자국 요인보다 국제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 때문이에요.

    답변이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