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1. 1문단에 따르면, 필립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반비례 관계를 발견했고, 사무엘슨과 소로는 이를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로 확장했어요. 임금이 오르면 생산비가 늘고, 결국 물가도 오르기 때문에 임금 상승 = 물가 상승으로 본 거예요. 그래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직접 연결한 필립스곡선이 만들어진 거예요.
2. 필립스곡선은 실업률이 낮아질수록 물가상승률이 높아진다는 걸 보여줘요. 그래서 고용을 늘리려 하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를 안정시키려 하면 고용이 줄 수밖에 없어요. 두 목표가 서로 반대 방향에 있기 때문에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는 뜻이에요. 1문단 마지막 문장이 이걸 시사하고 있어요.
3. 4문단에 따르면, 요즘은 자국 내 생산이나 고용이 늘어도 물가는 별로 오르지 않지만, 국제 물가가 오르면 자국 물가는 더 크게 반응한다는 거예요. 그래서 실업률이 낮고 생산이 늘어도 물가가 잘 오르지 않는 이유는, 자국 요인보다 국제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 때문이에요.
답변이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