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질문에서 “중세 국어 시기에도 단독으로 쓰이지 않았다”는 말은, 여기서 말하는 ‘단독’이 체언으로서의 받침 ‘ㅎ’만 단독으로 쓰인다는 뜻이 아니라, ‘ㅎ’ 받침을 가진 어휘가 혼자 ‘ㅎ’만 덩그러니 쓰인 형태를 말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하날와(하낧+와)’에서 ‘ㅎ’은 체언 ‘하낧’의 받침으로 나타납니다. 이 경우 ‘ㅎ’이 어말이나 어중에서 탈락할 수는 있지만, 받침 ‘ㅎ’만 단독으로 쓰인 적은 없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중세 국어에서도 ‘ㅎ’ 받침은 항상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나타났고, 혼자 독립적으로 체언으로 쓰이지 않았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