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바탕 10회 모의고사
    2025.09.29 11:09:25
  • 21번 문제의 4번선지가 정말 이렇게 판단할 수 있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해설에는 인당수가 아비의 눈뜨기라는 개인적 행복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한 공간이라고 했는데 심청전은 워낙 유명한 작품이기에 배경지식으로 알고 있는 학생이 많겠지만 이걸 모르고 있다면 행복실현좌절이라는 것을 단순하게 행복이 없는 부정적인 감정이네라고 생각을 하면 문제자체가 오류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보기의 논리가 해당 발췌부분의 내용만을 다룬 것이 아닌 보기는 심청전 전체의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꼭 보기에 나와있다고 해서 선지에 반영이 될 필요는 없고 보기에 나와있지 않은 부분인데 보기와 상충하기 않는 내용이 나올 수 있기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지문에 근거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작성자박*한
  • 첨부파일
    • 바탕국어연구소
    • 2025.10.02 18:58:26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문제의 4번 선지는 “인당수는 개인적 행복 실현이 좌절된 후 심청이 선택한 공간”이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문과 「심청전」의 발췌 내용을 보면, 인당수는 심청이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고자 하는 개인적 목표를 이루기 위해 선택한 공간입니다. 즉, 심청이 인당수에 들어간 이유는 이미 개인적 행복이 좌절된 이후가 아니라, 오히려 아버지의 눈뜨기라는 행복 실현을 위해 능동적으로 선택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선지의 표현과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인당수는 이동을 매개하는 공간으로서 아버지의 눈뜨기라는 목표를 위해 선택된 공간이며, ‘개인적 행복 실현이 좌절된 후’라는 설명은 지문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선지는 적절하지 않습니다.